GSLB 서비스: 지리적으로 분산된 위치에 있는 서버 간 부하 분산
*참고
DNS 서버를 통한 웹 서버 부하 분산과의 차이점 - https://zdnet.co.kr/view/?no=00000010055390
효율적인 부하 분산 라우팅을 위한 GSLB 기술 활용
글로벌 로드밸런싱을 구현하는 기술은 여러 가지가 있다. 그 중에서 현재 가장 많이 이용되는 것은 네임서버에 대상 서버를 복수로 등록하는 방법과 ISP가 운영하는 네임서버의 ...
zdnet.co.kr
https://m.blog.naver.com/megaitacademy/222915962003
재난으로 부터 데이터를 보호하는 GSLB(Global Server Load Balancing)란?
재난으로 부터 데이터를 보호하는 GSLB(Global Server Load Balancing)란? 안녕하세요. 메가IT입...
blog.naver.com
Load Balance방식
- DNS레코드를 추가하는 방식의 부하 분산
- L4/L7 스위치를 이용한 GSLB방식
차이점
1. 헬스체크 유무
- DNS : 헬스체크 X
- GSLB : 헬스체크 O
*헬스체크를 하지 않으면? 사용자는 장애의 상황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.
2. 최적의 경로를 알려주는지
- DNS방식: 사용자에게 DNS기록된 순서에서 Round-Robin 방식으로 서버의 위치를 알려줍니다. 이렇게 되면, 특정 서버의 부하가 몰리더라도, 순서대로 할당을 하므로 최적의 경로를 알려주는 방식은 아닙니다.
- GSLB: 사용자의 위치, 서버의 상태등을 고려하여 가장 가까운곳 or 최적의 서버로 할당을 합니다. 따라서 항상 상황에 맞게 지능적으로 부하 분산을 할 수 있게 됩니다.
3. 비용
- DNS방식: DNS만 등록하면 부하분산이 가능하기때문에, 비용이 저렴하며 구성이 간단하고 이후 관리를 위한 유지관리도 어렵지 않습니다.
- GSLB는 L4/L7의 스위치가 필요하기때문에, 비용이 발생합니다. 또한 이후 L4/L7의 관리역시 필요하기 때문에, 전문 네트워크 관리자가 필요합니다.
참고블로그
'클라우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EKS를 이용한 3-Tier 구성 (0) | 2024.01.29 |
---|---|
[Ncloud] Backup (0) | 2023.12.03 |
[Ncloud] 재해복구, DR (0) | 2023.12.03 |
[CDN] AWS CloudFront, S3 적용 및 mp4 파일 전송 데이터 크기/응답시간 비교 (0) | 2023.11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