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클라우드

[Ncloud] GlobalTrafficManager

 GSLB 서비스: 지리적으로 분산된 위치에 있는 서버 간 부하 분산

Load Balance방식

  1. DNS레코드를 추가하는 방식의 부하 분산
  2. L4/L7 스위치를 이용한 GSLB방식 

차이점

1. 헬스체크 유무

- DNS : 헬스체크 X

- GSLB : 헬스체크 O

*헬스체크를 하지 않으면? 사용자는 장애의 상황을 인지하지 못할  있습니다.

 

2. 최적의 경로를 알려주는지

- DNS방식: 사용자에게 DNS기록된 순서에서 Round-Robin 방식으로 서버의 위치를 알려줍니다이렇게 되면, 특정 서버의 부하가 몰리더라도, 순서대로 할당을 하므로 최적의 경로를 알려주는 방식은 아닙니다.

- GSLB: 사용자의 위치, 서버의 상태등을 고려하여 가장 가까운곳 or 최적의 서버로 할당을 합니다. 따라서 항상 상황에 맞게 지능적으로 부하 분산을   있게 됩니다.

 

3. 비용

- DNS방식: DNS 등록하면 부하분산이 가능하기때문에, 비용이 저렴하며 구성이 간단하고 이후 관리를 위한 유지관리도 어렵지 않습니다.

- GSLB L4/L7 스위치가 필요하기때문에, 비용이 발생합니다. 또한 이후 L4/L7 관리역시 필요하기 때문에, 전문 네트워크 관리자가 필요합니다.

 

 

참고블로그